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0년 만에 돌아온 남자, 하이데라바드에서 무슨 일이?

by triggerman2025 2025. 7. 20.

하이데라바드에서의 남자 뒷모습 묘사 장면

2015년, 인도 마하라슈트라주 푸네에서 한 남성이 실종됐습니다. 당시 그는 특별한 범죄 정황도, 사고 흔적도 없이 그저 사라졌습니다. 그리고 정확히 10년 뒤, 2025년 6월. 그는 하이데라바드의 한 국립병원에서 신원 미상의 남성으로 발견되어 다시 가족 품으로 돌아왔습니다.

그의 이름은 라훌(가명). 이 이야기는 단순한 귀환의 감동을 넘어, 현대 인도 사회가 가진 실종자 대응 시스템, 정신건강 관리, 사회복지의 현실을 고스란히 드러냅니다. 이 글에서는 그의 실종 당시 상황부터 10년 후의 귀환 과정, 전문가 분석, 그리고 인도 사회 전반의 반응까지 총체적으로 조명합니다.

1. 실종의 시작 – 아무도 몰랐던 사라짐

라훌은 2015년 7월, 인도 푸네(Pune)의 한 중소기업에 근무하던 27세 남성으로, 동료와의 관계도 나쁘지 않았고 가정환경도 특별히 문제되지 않았습니다. 그는 실종 당일에도 정상적으로 출근하고 퇴근했으며, 마지막 목격자는 회사의 경비원이었습니다. 그 후 그는 어떤 연락도 없었고, 휴대전화는 꺼졌으며, 출금·구매·온라인 접속 기록 등 모든 흔적이 완전히 사라졌습니다.

가족은 처음엔 단순 외출이라 생각했지만, 48시간이 지나도 돌아오지 않자 푸네 경찰서에 공식 실종 신고를 접수합니다. 경찰은 퇴근 경로에 있는 CCTV를 분석했지만, 그는 인근 버스터미널에서 사라진 것처럼 보였습니다. 지문 조회, 병원·의료기관 확인, 신원 정보 추적, 친구·지인 탐문까지 총동원되었지만 결과는 ‘미확인’. 결국 6개월 후, 경찰은 해당 사건을 장기 실종 미해결 파일로 전환하며 수사에서 손을 뗍니다.

이후 가족은 언론에 호소하고, SNS에 실종정보를 공유했지만, 실종 2~3년이 지나자 사회적 관심은 줄어들었고, ‘잊혀진 사건’이 되어버렸습니다.

2. 발견의 순간 – 2025년, 병원 응급실의 한 남자

2025년 6월 13일, 하이데라바드 간디 국립병원(Gandhi Government Hospital)의 응급실로 쓰러진 신원 미상의 노숙자가 실려옵니다. 중년 남성인 그는 극심한 탈수, 영양실조, 감염 증세를 보였으며, 가장 특징적인 것은 “지속적인 언어 반복”과 “정체불명의 이름 언급”이었습니다.

그는 병원 침상에서 계속 “푸네”, “엄마”, “기억 안 나”, “사라졌어” 등의 단어를 되뇌었고, 정신과 담당 의료진은 그의 증세가 단순 노숙이 아니라 정신적 외상에 의한 해리성 기억 상실 가능성이라는 판단을 내립니다. 담당 의사는 그가 말한 단어들을 기록해 지문 조회를 요청했고, 실종자 중앙DB와 일치하는 인물 ‘라훌 샤르마’로 확인되며, 10년 전 실종 사건이 세상에 다시 떠오르게 됩니다.

경찰은 즉시 가족에게 연락했고, 라훌의 어머니와 형은 비행기를 타고 그날 밤 병원으로 달려왔습니다. 처음 마주한 그는 멍한 눈으로 어머니를 바라보았고, 어머니가 그를 부르며 손을 잡자 “엄마…”라는 한 마디와 함께 눈물을 흘렸습니다.

3. 10년의 공백 – 그는 어디에 있었나?

그가 어디에서, 어떻게 10년을 살아왔는지는 지금도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하이데라바드는 푸네에서 약 560km 거리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지역이 아닙니다. 게다가 그는 10년 동안 병원 기록, 금융 기록, 주거 정보, 신분 인증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주요 가설들:

  • 자발적 도피 가설: 정신적 고통이나 인간관계 회피로 모든 흔적을 지우고 거리로 나온 뒤, 방황하며 생존했을 가능성.
  • 종교 공동체 체류 가설: 힌두교·불교 계열의 은둔 공동체에 들어가 ‘신분 없는 삶’을 자청했을 가능성.
  • 노동 착취 피해자 가설: 고용 보장이 없는 비공식 노역 현장에서 장기 노동에 시달렸을 가능성.
  • 정신질환성 실종 가설: PTSD, 해리성 기억 장애 등으로 인해 자신의 과거를 인지하지 못한 채 살아왔을 가능성.

담당 정신과 전문의는 “그는 특정 기억에 대해 강한 회피반응을 보이며, 이름조차 말하려 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자발적인 거부 반응이 아닌, 정신적 방어기제의 일환이며, 그가 겪은 트라우마가 단순한 사건 이상의 지속적 고통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4. 인도 사회의 충격 – 제도는 왜 작동하지 않았는가?

이 사건이 알려지자 인도 전역의 언론은 이를 “현대 인도 시스템의 실패이자, 개인적 기적”이라며 대대적으로 보도했습니다. 많은 시민단체와 정신건강 NGO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공개 비판했습니다:

  • 실종자-병원-경찰 정보 불일치: 의료기관은 지문 조회를 의무적으로 수행하지 않으며, 시스템은 연동되지 않음.
  • 정신질환자에 대한 공공 지원 부재: 유기자 및 노숙 정신질환자에 대한 보호·복귀 체계가 부실함.
  • 가족 정보 접근권의 비효율성: 가족이 반복 요청하더라도 관련 데이터는 폐기되거나 기관 이관으로 실질적 접근 불가.

이에 따라 2025년 인도 내무부는 전국 단위 실종자 실시간 조회 시스템 구축, 의료기관 의무 지문조회 도입, 정신질환 유기자 등록법 개정 등을 예고했습니다.

5. 가족의 회복과 사회적 질문

그는 병원 치료 이후 점차 회복 중이며, 일주일에 두 번씩 가족 면회를 하고 있습니다. 어머니는 “매일 기도했다. 그날이 올 줄 몰랐다”고 말했고, 형은 “그가 돌아왔다는 사실 하나만으로 충분하다”고 전했습니다.

전문가는 말합니다: “진짜 회복은 이제부터 시작입니다. 그는 단지 돌아왔을 뿐, 돌아온 삶을 어떻게 회복할 것인지는 또 다른 여정입니다.”


이 사건은 단지 ‘감동 실화’로 소비되기보다는, 사회가 외면했던 실종자들, 정신질환자들, 유기된 이웃들에 대한 구조적 문제를 되짚는 계기가 되어야 합니다.

이 사건은 기적이 아니라 경고입니다.
우연이 아닌 제도가, 운이 아닌 시스템이 사람을 되찾아야 합니다.
잊힌 존재들을 다시 찾기 위해, 우리는 더 나은 사회 구조를 만들어야 합니다.